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는 1988년에 치러진 선거로, 경상북도 지역구 국회의원을 선출했다. 선거구는 포항시, 경주시, 김천시·금릉군 등 21개로 구성되었다. 선거 결과, 민주정의당이 다수의 지역구에서 승리했으며,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 등 다른 정당 후보들도 당선되었다.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경상북도의 선거구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2. 선거구
선거구 구성 지역 포항시 포항시 경주시 경주시 김천시·금릉군 김천시, 금릉군 안동시 안동시 구미시 구미시 영주시·영풍군 영주시, 영풍군 영천시·영천군 영천시, 영천군 상주시·상주군 상주시, 상주군 점촌시·문경군 점촌시, 문경군 달성군·고령군 달성군, 고령군 군위군·선산군 군위군, 선산군 의성군 의성군 안동군 안동군 청송군·영덕군 청송군, 영덕군 영양군·봉화군 영양군, 봉화군 영일군·울릉군 영일군, 울릉군 월성군 월성군 경산군·청도군 경산군, 청도군 성주군·칠곡군 성주군, 칠곡군 예천군 예천군 울진군 울진군
2. 1. 상세 선거구역
선거구 | 선거구역 |
---|---|
포항시 | 포항시 일원 |
경주시 | 경주시 일원 |
김천시·금릉군 | 김천시 일원, 금릉군 일원 |
안동시 | 안동시 일원 |
구미시 | 구미시 일원 |
영주시·영풍군 | 영주시 일원, 영풍군 일원 |
영천시·영천군 | 영천시 일원, 영천군 일원 |
상주시·상주군 | 상주시 일원, 상주군 일원 |
점촌시·문경군 | 점촌시 일원, 문경군 일원 |
달성군·고령군 | 달성군 일원, 고령군 일원 |
군위군·선산군 | 군위군 일원, 선산군 일원 |
의성군 | 의성군 일원 |
안동군 | 안동군 일원 |
청송군·영덕군 | 청송군 일원, 영덕군 일원 |
영양군·봉화군 | 영양군 일원, 봉화군 일원 |
영일군·울릉군 | 영일군 일원, 울릉군 일원 |
월성군 | 월성군 일원 |
경산군·청도군 | 경산군 일원, 청도군 일원 |
성주군·칠곡군 | 성주군 일원, 칠곡군 일원 |
예천군 | 예천군 일원 |
울진군 | 울진군 일원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지역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개표 결과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진우 | 민주정의당 | 59,433 | 43.46 |
이성수 | 신민주공화당 | 46,245 | 33.82 |
최수환 | 통일민주당 | 21,105 | 15.43 |
김병구 | 한겨레민주당 | 5,843 | 4.27 |
이성석 | 무소속 | 2,738 | 2.00 |
이진탁 | 신한민주당 | 1,360 | 0.99 |
최영만 | 평화민주당 | (사퇴) | - |
합계 | 136,724 | 100 |
- 경주시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일윤 | 민주정의당 | 25,400 | 39.28 |
임진출 | 신민주공화당 | 20,333 | 31.44 |
김양호 | 통일민주당 | 13,230 | 20.46 |
백수근 | 무소속 | 2,772 | 4.28 |
이상두 | 평화민주당 | 1,088 | 1.68 |
정강주 | 무소속 | 962 | 1.48 |
박광도 | 무소속 | 874 | 1.35 |
합계 | 64,659 | 100 |
- 김천시·금릉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정수 | 민주정의당 | 54,067 | 63.91% |
박희동 | 통일민주당 | 20,922 | 24.73% |
조석환 | 신민주공화당 | 6,651 | 7.86% |
정정문 | 평화민주당 | 2,957 | 3.49% |
합계 | 84,597표 |
- 안동시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오경의 | 통일민주당 | 23,258 | 44.41% |
권중동 | 민주정의당 | 21,854 | 41.73% |
김노식 | 한겨레민주당 | 6,545 | 12.49% |
김성현 | 사회민주당1985 | 705 | 1.34% |
합계 | 52,362 | 100% |
- 구미시
- 영주시·영풍군
- 영천시·영천군
- 상주시·상주군
- 점촌시·문경군
- 달성군·고령군
- 군위군·선산군
- 의성군
- 안동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류돈우 | 민주정의당 | 29,230 | 51.66% | |
김시명 | 신민주공화당 | 12,860 | 22.73% | |
박해충 | 무소속 | 8,544 | 15.10% | |
정석교 | 통일민주당 | 4,729 | 8.35% | |
김재환 | 평화민주당 | 1,212 | 2.14% | |
합계 | 56,575 |
- 청송군·영덕군
- 영양군·봉화군
- 영일군·울릉군
- 월성군
- 경산군·청도군
- 성주군·칠곡군
- 예천군
- 울진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중권 | 민주정의당 | 23,484 | 54.78% |
황지성 | 통일민주당 | 8,336 | 19.44% |
이동일 | 무소속 | 3,924 | 9.15% |
최순열 | 신민주공화당 | 3,755 | 8.75% |
장소택 | 평화민주당 | 3,370 | 7.86% |
합계 | 42,869 |
3. 1. 포항시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진우 | 민주정의당 | 59,433 | 43.46 |
이성수 | 신민주공화당 | 46,245 | 33.82 |
최수환 | 통일민주당 | 21,105 | 15.43 |
김병구 | 한겨레민주당 | 5,843 | 4.27 |
이성석 | 무소속 | 2,738 | 2.00 |
이진탁 | 신한민주당 | 1,360 | 0.99 |
최영만 | 평화민주당 | (사퇴) | - |
합계 | 136,724 | 100 |
3. 2. 경주시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일윤 | 민주정의당 | 25,400 | 39.28 |
임진출 | 신민주공화당 | 20,333 | 31.44 |
김양호 | 통일민주당 | 13,230 | 20.46 |
백수근 | 무소속 | 2,772 | 4.28 |
이상두 | 평화민주당 | 1,088 | 1.68 |
정강주 | 무소속 | 962 | 1.48 |
박광도 | 무소속 | 874 | 1.35 |
합계 | 64,659 | 100 |
3. 3. 김천시·금릉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정수 | 민주정의당 | 54,067 | 63.91% |
박희동 | 통일민주당 | 20,922 | 24.73% |
조석환 | 신민주공화당 | 6,651 | 7.86% |
정정문 | 평화민주당 | 2,957 | 3.49% |
합계 | 84,597표 |
3. 4. 안동시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오경의 | 통일민주당 | 23,258 | 44.41% |
권중동 | 민주정의당 | 21,854 | 41.73% |
김노식 | 한겨레민주당 | 6,545 | 12.49% |
김성현 | 사회민주당1985 | 705 | 1.34% |
합계 | 52,362 | 100% |
3. 5. 구미시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구미시 선거구에서는 민주정의당 박재홍 후보가 당선되었다.
3. 6. 영주시·영풍군
3. 7. 영천시·영천군
3. 8. 상주시·상주군
3. 9. 점촌시·문경군
3. 10. 달성군·고령군
3. 11. 군위군·선산군
3. 12. 의성군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의성군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정창화 후보가 57.8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신민주공화당 김상윤 후보는 35.39%, 통일민주당 양재범 후보는 6.75%를 득표했다.
3. 13. 안동군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안동군 선거구에서는 총 68,249명의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했다. 민주정의당 류돈우 후보가 29,230표(51.66%)를 얻어 당선되었다. 신민주공화당 김시명 후보는 12,860표(22.73%), 무소속 박해충 후보는 8,544표(15.10%), 통일민주당 정석교 후보는 4,729표(8.35%), 평화민주당 김재환 후보는 1,212표(2.14%)를 얻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류돈우 | 민주정의당 | 29,230 | 51.66% | |
김시명 | 신민주공화당 | 12,860 | 22.73% | |
박해충 | 무소속 | 8,544 | 15.10% | |
정석교 | 통일민주당 | 4,729 | 8.35% | |
김재환 | 평화민주당 | 1,212 | 2.14% | |
합계 | 56,575 |
3. 14. 청송군·영덕군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청송군·영덕군 선거구에서는 민주정의당 황병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3. 15. 영양군·봉화군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오한구 후보가 통일민주당 김경기 후보, 평화민주당 류상기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3. 16. 영일군·울릉군
3. 17. 월성군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황윤기 후보가 56.8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통일민주당 심봉섭 후보는 43.15%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
3. 18. 경산군·청도군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경산군·청도군 선거구의 유권자는 132,694명이었다. 신민주공화당 이재연 후보가 39.8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정의당 박재욱 후보는 39.76%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통일민주당 박정규 후보는 20.36%를 득표하였다. 총 104,908표가 투표되었다.
3. 19. 성주군·칠곡군
3. 20. 예천군
3. 21. 울진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중권 | 민주정의당 | 23,484 | 54.78% |
황지성 | 통일민주당 | 8,336 | 19.44% |
이동일 | 무소속 | 3,924 | 9.15% |
최순열 | 신민주공화당 | 3,755 | 8.75% |
장소택 | 평화민주당 | 3,370 | 7.86% |
합계 | 42,869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울진군 선거구에서는 총 52,604명의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했으며, 개표 결과는 위와 같다.
4. 당선자
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포항시 | 민주정의당 | 이진우 | 59,433 | |
경주시 | 민주정의당 | 김일윤 | 25,400 | |
김천시·금릉군 | 민주정의당 | 박정수 | 54,067 | |
안동시 | 통일민주당 | 오경의 | 23,258 | |
구미시 | 민주정의당 | 박재홍 | 31,481 | |
영주시·영풍군 | 민주정의당 | 김진영 | 39,354 | |
영천시·영천군 | 민주정의당 | 정동윤 | 37,237 | |
상주시·상주군 | 민주정의당 | 김근수 | 46,141 | |
점촌시·문경군 | 통일민주당 | 신영국 | 28,177 | |
달성군·고령군 | 신민주공화당 | 구자춘 | 35,818 | |
군위군·선산군 | 민주정의당 | 김윤환 | 50,692 | |
의성군 | 민주정의당 | 정창화 | 38,345 | |
안동군 | 민주정의당 | 류돈우 | 29,230 | |
청송군·영덕군 | 민주정의당 | 황병우 | 30,440 | |
영양군·봉화군 | 민주정의당 | 오한구 | 35,536 | |
영일군·울릉군 | 민주정의당 | 이상득 | 47,795 | |
월성군 | 민주정의당 | 황윤기 | 42,661 | |
경산군·청도군 | 신민주공화당 | 이재연 | 41,827 | |
성주군·칠곡군 | 민주정의당 | 장영철 | 44,539 | |
예천군 | 민주정의당 | 유학성 | 31,196 | |
울진군 | 민주정의당 | 김중권 | 23,484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